경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연 3.0%로 유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 회의실에서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0%로 유지했다.
앞서 한은은 2021년 8월(0.5→0.75%)을 시작으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시작했다.
이 때부터 두 차례 빅스텝(한 번에 0.5%p 인상)을 포함해 총 10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연 3.5%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운용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p 낮추며 인하 사이클에 돌입했다.
다음달인 11월 연속 인하로 3.0%까지 기준금리를 내렸다.
이번 금통위는 막판까지 인하와 동결 전망이 팽팽하게 맞섰다.
경기 부양 측면에서는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1500원선을 위협하는 원/달러 환율 레벨을 생각하면 연속 인하 부담이 적잖다는 이유에서다.
'동결' 전망의 근거는 여전히 높은 원/달러 환율과 매파적으로 태도를 바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이다.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물량 출회와 당국의 미세조정(스무딩 오퍼레이션)에도 '강달러' 추세를 바꾸기엔 역부족이었다.
연준의 금리인하 흐름에 급제동이 걸린 것도 한은의 결정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뉴욕 사무소가 지난 1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10곳 가운데 2곳은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노컷'(금리인하 없음)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의 동결을 예상했던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고용지표 발표 이후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축소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했고 한은의 1월 동결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며 "연준의 긴축으로 환율 우려가 높아지면서 한은은 환율을 더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은이 발표하는 뉴스심리지수가 반등하고 있다"며 "연말 신용카드 사용금액, 배달 결제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이 과거보다 크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 이전글신음하는 한국경제, 윤 구속으로 내적 불확실성 해소.. 25.01.19
- 다음글경기불황과 계엄 여파로 문닫는 자영업자 속출..실업급여 수급자도 늘어.. 25.01.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미국-우크라, 광물 협정 전격 서명..러시아의 ‘전면 …
해울그룹 2025-05-01
-
사법쿠데타, 설마했던 관심법 판결이 또다시 현실이 되어…
해울그룹 2025-05-02
-
이재명 ‘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형사7부 …
해울그룹 2025-05-02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한달만에 초고속 …
해울그룹 2025-05-01
-
명품 거북선, 3600t급 중형잠수함 장보고-Ⅲ 옥포조…
해울그룹 2025-05-01
-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국회와 소통하며 안정적 국정…
해울그룹 2025-05-02
-
최상목 부총리, 탄핵안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자 사의 …
해울그룹 2025-05-0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청투어’ 일정 시동…
해울그룹 2025-05-01
-
민주, 최상목·심우정 쌍탄핵 급발진..대법원 파기환송에…
해울그룹 2025-05-01
-
한국정치의 불확실성에 따른 우려를 또다시 보도하기 시작…
해울그룹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