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비자물가 상승률 5개월만에 최대폭, 1년전보다 2.2% 상승..
페이지 정보
본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다.
통계청이 2월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로 주춤한 뒤 10월에 1.3%까지 떨어졌다.
이후 반등해 11월 1.5%·12월 1.9%를 기록했고 올해 1월에는 2%를 넘어섰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와 환율이 모두 상승한 탓이다.
여기에 1년 전 유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포인트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요인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국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포인트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는 등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무도 79.5% 올랐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수요 증가와 작황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 이전글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기업도 ‘금지령’ 25.02.05
- 다음글이재명 대표, 국내상황 어렵다. 추경 신속하게 준비해달라..재차 촉구 25.0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서울남부지검, 윤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강제수사 착수.…
해울그룹 2025-04-30
-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5월 1일 오후 3…
해울그룹 2025-04-29
-
서울 시내버스 노사 임금협상 결렬, 노조 30일 새벽 …
해울그룹 2025-04-30
-
대법원, 내일(1일) 이재명 사건 상고심 선고 TV 생…
해울그룹 2025-04-30
-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대규모 정전 발생..사회적 혼란.…
해울그룹 2025-04-29
-
수도권 지하철 교통카드 기본요금 1550원으로..오는 …
해울그룹 2025-04-29
-
전주시, 전주-완주 통합되면 완주까지 연장하는 광역교통…
해울그룹 2025-04-30
-
한덕수 대행, 헌법재판소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해울그룹 2025-04-29
-
홍준표, 정계은퇴선언..오늘로 정치 졸업, 시민으로 돌…
해울그룹 2025-04-29
-
명태균 검찰 출석, 김건희 개입 여부 검찰 판단할 것.…
해울그룹 2025-04-29